| MKE2FS(8) | System Manager's Manual | MKE2FS(8) | 
이름¶
mke2fs - 리눅스 개정판 확장 화일 시스템 생성
개요¶
mke2fs [ -c | -l 화일명 ] [ -b 블럭 크기 ] [ -f 프레그먼트 크기 ] [ -i 노드 당 바이트수 ] [ -m 예약 블럭 퍼센트 ] [ -q ] [ -v ] [ -F ] [ -S ] 장치명 [ 블럭 갯수 ]
설명¶
mke2fs 는 보통 디스크
    파티션에 해당하는
    장치에 리눅스 개정판
    확장 화일 시스템을
    생성하는데 사용된다.
  
  장치명 은 예를 들어
    /dev/hdXX 와 같이 어떤
    장치에 해당하는 특수
    화일명이다.
  
  블럭 갯수 장치가
    포함하는 블럭 갯수를
    정한다. 만약 생략하면
    mke2fs 는 자동으로 화일
    시스템의 크기를
    계산한다.
옵션¶
- -b 블럭 크기
- 블럭 크기를 바이트 수로 지정한다.
- -c
- 읽기 전용 테스트를 빠르게 수행하면서 화일 시스템 생성시 배드 블럭을 체크하도록 한다.
- -f 프레그먼트 크기
- 프레그먼트의 크기를 바이트 수로 지정한다.
- -i 아이노드 당 바이트수
- 아이노드(inode)당 바이트수를 정한다. mke2fs 는 bytes-per-inode 에서 정한 바이트 수마다 아이노드를 디스크 상에 생성한다. 기본값은 4096 바이트이다. bytes-per-inode 는 최소한 1024 는 되어야 한다.
- -l 화일명
- 화일명 으로부터 배드 블럭 리스트를 읽는다.
- -m 예약 블럭 퍼센트
- 수퍼유저에게 예약해둘 블럭의 퍼센트를 정한다. 기본값은 5% 이다.
- -q
- 아무런 메세지 출력없이 조용히 실행한다. 스크립트 안에서 실행할 때 주로 사용한다.
- -v
- 메세지를 자세히 보여준다.
- -F
- 지정한 장치가 블럭 장치가 아니어도 mke2fs 를 무조건 실행하도록 한다.
- -S
- 수퍼블럭, 그룹 기술자(descriptor)만을 쓴다. 수퍼블럭과 백업 수퍼블럭만이 모두 깨졌을 때 그리고 최후의 복구 방법을 사용할 때 사용된다. 아이노드 테이블, 블럭, 아이노드 비트맵을 건드리지 않고 수퍼블럭과 그룹 기술자만 다시 초기화하도록 한다. e2fsck 프로그램을 실행 후 즉시 사용해야 한다. 자료를 모두 복구할 수 있다는 보장은 없다.
저자¶
mke2fs Theodore Ts'o <tytso@mit.edu>씨에 의해 만들어졌다.
버그¶
mke2fs 은 -f 옵션을
    받아들기는 하지만
    프로그먼트를
    지원하지 않으므로
    무시된다.
  
  버그가 더 있을 지
    모르므로 발견 즉시
    저자에게 보고해주기
    바란다.
구할 수 있는 곳¶
mke2fs 는 ftp.ibp.fr 나 tsx-11.mit.edu 에서 익명 ftp 로 /pub/linux/packages/ext2fs 디렉토리에서 구할 수 있다.
참고¶
번역자¶
이 만 용
    <geoman@nownuri.nowcom.co.kr>
  
   <freeyong@soback.kornet.nm.kr>
| 1996년 5월 | E2fsprogs 버전 1.04 |